운영체제

[운영체제] 가상머신에 우분투 설치

귤장수 2021. 11. 1. 10:49
반응형

리눅스의 장점

 

리눅스의 장점이 다양하게 있지만 그 중 가장 큰 장점은 무료인것이다.

무엇보다 이번에 centOS논란때문에 작성자도 centOS를 주로 이용했지만 우분투를 설치해보기로 하였다.

 

가상머신 자체를 설치하는 과정은 생략하고, 가상머신 설치되었다는 과정하에 우분투 설치를 할 예정이다.

 

가상머신은 VMware Workstation 16을 이용한다.

링크는 여기를 클릭하거나 사진을 클릭하면 된다.

 

위에 탭중 Download를 클릭하면

 

이런 화면을 볼 수 있는데 이 중 Ubuntu Desktop의 20.04 LTS 클릭하면 된다.

그러면 화면이 넘어가지는 동시에 다운로드가 시작 된 것을 볼 수 있다.

 

다운이 완료 되면 가상 머신을 키고

 

우측의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한다.

 

그러면 가상머신 Wizard 창이 열리고 다운받은 iso 파일을 선택해준다.

 

이 부분은 리눅스에서 사용할 계정을 생성하는 부분이다. 우분투에서 사용하게 될 계정이니 적어두고 잊지말자

 

이 부분은 가상머신의 이름과, 설치 경로이다.

적당히 설정하고 Next클릭

 

이 부분은 가상머신의 용량을 정하는 것이다. 쉽게 생각하면 하드디스크 용량이라 보면 된다.

 

1.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: VMDK 파일을 단일 파일로 생성

2. Split virtual disk into multiple files : VMDK 파일을 2GB로 분할하여 생성

 

이 부분은 하드웨어 성능을 설정하는 요소이다.

 

Power on this virtual machine after creation을 체크해두면 가상머신 파일을 만든 후에 자동으로 가상머신을 실행한다.

 

여기서 성능을 설정할 수 있다. 너무 높게 잡을필요는 없지만 필요한만큼의 성능을 잡으면 된다.

그 후 Finish를 누르면 완료된다.

 

실행하면 이렇게 로딩된다.

 

그러면 이렇게 귀여운 고양이가 나온다.

 

그 후 Install인데 좀 많이 걸려서 임시저장하고 다시 글을 써야겠다.

 

설치가 완료되면 아까 설정해둔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하고

 

 

설치가 완료되었다.

반응형